자격증 홀릭 2022. 9. 28. 15:31
728x90
반응형

인플레는 돈의 가치가 떨어지고 물건값이 오르는 현상이다.

지금 연준에서 계속 금리를 올리고 있는데.. 바로 인플레를 잡기 위한 것이란다. 근 30년 동안 인플레를 모르고 살았는데 왜 갑자기 이슈가 되는 것인가? 미국에서 금리는 올리니 달러 가치가 올라고 환률이 오르고, 잉여 자금이 없어 주식이 자꾸 떨어진다.(또는 바겐세일 중이다.)

1. 왜 인플레가 없었나

1980년 이후 몇 가지 중요한 이슈가 발생했다. 일단 소련이 몰락했고, 중국과 한국과의  수교, WTO 가입 등 변화가 있었다. 국내의 경우 강성 노조로 인해 생산 시설을 중국이나 동남아 등 값싼 노동력이 있는 해외로 눈길을 돌리기 시작했다.

이름바 세계화의 시작이었다. 전 세계가 미국을 중심으로 하나의 단일 경제 블럭으로 변화한다. 이젠 전 세계에서 가장 싼 물건을 전 세계로 배송한다. 누구나에게 이익이 되는 시장이다. 물건 값을 싸지고, 저개발국도 저마다 산업화를 외치게 된다.

2. 소득의 양극화

국내의 경우도 수출기업을 주도로 소득이 증가하게 된다. 그런데... 어두운 면도 있다. 바로 중산층의 몰락이다. 미국 내의 공장이 중국으로 이동하고, 국내의 경우도 공장에서 있하는 중위 소득자가 없어지게 된다. 도시민과 농촌인구... 바로 소득의 양극화가 발생한다. 그래도 세상은 넓고 할일은 많다고 물가가 올라가도 중국에서 싼 물건 수입하면 되기에 그럭저럭 버텨간다.

3. 새로운 규칙

이제 세상이 바뀌었다. 코로나로 서로 빗장을 잠그기 시작했고, 중국도 미국을 향해 견제하고 있다. 거기에 우크라이나 전쟁.. 이젠 미국 중심의 경제 블럭이 금이 가고 있다. 큰 어항에 소금 몇 숟가락 넣을때 별로 짜지 않더니 작은 컵에 소금은 엄청나게 짜다. 경제블럭이 금이 간 만큼 트럼프든 바이든이든 기업들에게 컴백홈을 외치고 있다.

4. 나는 어떻게 해야 하나..

뭐 기다려야지.. 때를 기다리고 실탄을 준비하고 있어야지.. 독점 기업을 찾고....인플라가 발생해도 고객에게 전가할 수 있는 능력이 있으면서 배당을 잘 주는 기업에 배팅하고...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