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보호관리체계 인증은 전문 국가기관이 평가를 수행하기 때문에 객관성을 확보할 수 있고 사업 파트너, 고객, 주주들에게 조직의 정보보호 관리 능력에 대한 보증을 제공함으로써 조직의 이미지 제고 및 사업 활성화에 기여한다. 또한 정보보호관리체계 인증 과정을 통해 조직의 정보보호관리체계를 다시 한번 검토하고 보완함으로써 정보보호관리체계를 강화하고 목표로 하는 정보보호 수준을 유지할 수 있다.
정보보호 수준 측면의 이점뿐만 아니라 안전진단 대상 기업의 경우 정보보호관리체계 인증 및 사후관리 심사를 받게 되면 심사 후 1년 이내는 안전진단을 받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비용 및 효과 측면에서 실질적인 효익이 있다.
정보보호관리체계 인증은 조직의 정보보호 관리 능력을 대중에게 객관적으로 보장해주는 한편 그 조직의 세부적인 통제사항이나 내용은 대중에게 공개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정보보호 수준에 대한 보증을 제공하면서 정보보호통제의 세부사항은 여전히 비밀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만일 타 조직이나 기업과 중요정보를 교환할 경우 상대 조직이 정보보호관리체계 인증을 받았다면 그 조직의 정보보호 관리능력을 신뢰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세계 각국에서는 자체적인 정보보호관리체계 인증 제도를 수립하고 이러한 인증의 활성화를 통해 조직의 정보보호 수준을 제고하며 객관적이고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여 고객과 주주, 조직 간의 신뢰를 제고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우리의 정보보호관리체계 인증제도 역시 이러한 국제적인 추세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수립된 것이다.

'정보보호관리체계(ISMS-P)' 카테고리의 다른 글
ISMS / 정보보호관리체계 인증체계 (2) | 2022.09.17 |
---|---|
국외의 유사 인증제도 동향 (0) | 2022.09.16 |
정보보호관리체계 인증의 필요성 (0) | 2022.09.16 |
정보보호관리체계 인증의 정의 (0) | 2022.09.16 |
정보보호관리체계 수립의 이점 (0) | 2022.09.16 |